17129번: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가 정보섬에 올라온 이유
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 세 식구가 정보섬에 올라왔다! 세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는 정보섬 2층 어딘가에 모여 앉아 쉬고 있었는데, 저 멀리 청국장과 스시와 맥앤치즈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! 아빠는 청국장, 엄마는 스시, 아이는 맥앤치즈가 먹고 싶다. 그래서 이 셋은 현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음식을 먹으러 가기로 했다. 정보섬 2층은 A n×m의 격자로 표현된다.
![](https://www.acmicpc.net/favicon-16x16.png)
![](https://onlinejudgeimages.s3-ap-northeast-1.amazonaws.com/images/boj-og.png)
키워드
- 정보섬 2층은 A[n][m]의 격자로 표현
- 어떤 A[i][j]가 0이면 빈 복도여서 지나갈 수 있고, 1이면 장애물로 막혀 지나갈 수 없다.
-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 식구는 2, 청국장은 3, 스시는 4, 맥앤치즈는 5이다.
- 현위치에서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음식까지의 최단 거리를 출력
구현
너비우선 탐색
을 이용하여 해결한다.
- 4 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배열
dydx
를 선언한다.
- 3, 4, 5중 하나라도 먼저 방문하게 되면 거기까지의 거리를 반환한다.
- 너비우선 탐색이 끝났는데 하나도 방문하지 않으면 0을 반환한다.
코드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Deque;
import java.util.Queue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java_17129 {
// 4방향 이동을 위한 배열
final static int dydx[][] = { { -1, 0 }, { 1, 0 }, { 0, -1 }, { 0, 1 } };
// 행, 열
static int n, m;
// 정보섬 데이터
static int board[][];
// 가족의 y, x좌표
static Pair family;
// y, x 쌍을 저장하기 위한 클래스
static class Pair {
int y, x, degree;
public Pair(int y, int x, int degree) {
this.y = y;
this.x = x;
this.degree = degree;
}
public Pair(int y, int x) {
this.y = y;
this.x = x;
this.degree = 0;
}
}
// 가장 가까운 음식까지의 최단거리 반환
// 만약 어떠한 음식도 도달할 수 없으면 0 반환
static int solution() {
// 중복 방문처리를 위한 배열
boolean isVisited[][] = new boolean[n][m];
// 너비우선 탐색
Queue<Pair> queue = new ArrayDeque<>();
queue.add(family);
while (!queue.isEmpty()) {
Pair here = queue.poll();
for (int i = 0; i < dydx.length; i++) {
int toY = here.y + dydx[i][0];
int toX = here.x + dydx[i][1];
try {
// 이미 방문한 곳은 또 방문하지 않음
if (isVisited[toY][toX]) {
continue;
}
// 벽은 갈 수 없음
if (board[toY][toX] == 1) {
continue;
}
// 다음 위치가 음식 중 하나에 해당하면
if (3 <= board[toY][toX] && board[toY][toX] <= 5) {
return here.degree + 1;
}
// 방문처리
isVisited[toY][toX] = true;
// 큐에 경로 추가
queue.add(new Pair(toY, toX, here.degree + 1));
} catch (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e) {
continue;
}
}
}
return 0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// 식구 2
// 청국장 3
// 스시 4
// 맥앤치즈 5
// 가장 가까운 위치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m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board = new int[n][m];
// 정보섬 데이터 입력받기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String line = br.readLine();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int thisBoard = line.charAt(j) - '0';
board[i][j] = thisBoard;
// 만약 가족들의 위치라면 따로 객체형태로 저장
if (thisBoard == 2) {
family = new Pair(i, j);
continue;
}
}
}
int result = solution();
if (result == 0) {
System.out.println("NIE");
}
if (result != 0) {
System.out.println("TAK");
System.out.println(result);
}
br.close();
}
}
Uploaded by N2T
'Coding Test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/JAVA] 23631번: 진심 좌우 반복뛰기 (0) | 2023.01.30 |
---|---|
[BOJ/JAVA] 9019번: DSLR (1) | 2023.01.16 |
[BOJ/JAVA] 13023번: ABCDE (0) | 2023.01.16 |
[BOJ/JAVA] 4803번: 트리 (0) | 2023.01.12 |
[BOJ/JAVA] 1991번: 트리 순회 (0) | 2023.01.12 |